
* 장비의 개념
펄스재생복원기는 전기화학반응 및 전기적 펄스를 이용하여 납축전지 전극표면 및 내면의 황산납을 효율적으로
제거하며, 이와 동시에 전해액의 활성을 부활시키는 친환경적인 납축전지 재생장치이다.
납축전지는 황산 전해질과 납의 산화환원반응을 원리로 하여 충방전하는 전압 약 2.0V의 2차전지이다.
보통 납축전지의 방전에 대한 산화환원반응은 다음과 같다.
* 음극(Cathode) : PbO2 + SO42- + 4H+ +2e- ↔ PbSO4 +2H2O E0= 1.70V
* 양극(Anode) : Pb + SO42- ↔ PbSO4 +2e- E0=-0.355V
* 전체 : Pb + PbO2 + 2H2SO4 ↔ 2PbSO4 + 2H2O
황산화(Sulfation)는 Anode의 Pb 전극이 방전시 PbSO4(황산염)을 생성하고 충전시 다시 Pb로 환원되어야 하지만, 불충분 충전이나 충전
후 장기보관 등에 의해 황산염이 환원되지 않고 전극 부도체 피막을 형성하여, 저항체로 작용하여 납축전지 충방전 기능을 저하시킨다.
* 자사 재생복원 장비의 특장점
/ 기존 제품의 대부분은 주파수 변환방식이 아닌 전류크기 변환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전류파형 또한
일정 패턴을 갖고 있으므로 다양한 황산화 진행 정도에 따라 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.
/ 임의 전류파형을 인가함으로써 다양한 상태로 황산화가 진행된 배터리에 최적의 전류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.
/ 커패시터 뱅크에 의한 매우 낮은 임피던스 회로를 구현하여 순간 최대 100A 이상의 전류파형을 발생 할 수 있다.
/ 전류 패턴은 내부 메모리에 라이브러리 형태로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한 전류패턴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.
/ 타사의 경우 대부분 저주파 트랜스포머로 주 전력회로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화에 제한적이 부분이 많이 있지만 본 제품의 주 전력
회로는 복합펄스[Switching Mode Power Supply]로 구성함으로써 소형 경량화에 매우 유리한 구조이다.
/ 자사 재생복원기는 매우 적은 전력과 편리하고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폐기되는 배터리를 극판이 손상되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재생하여
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재고, 보수 및 취급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.
* 일반(정전류/맥류) 재생복원과 Pulse 재생복원의 차이점
l. 일반 충전
/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방전을 하는 과정에서 황산납이 생성되는데, 충전시 생성된 황산납이
다시 이온화 상태로 돌아가 전해질에 녹아드는 것이 정상적인 반응이지만, 충전이 불안정하거나
황산납이 형성된 후 방치함으로써, 충전을 하여도 이온화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황산납 피막이
생성됨.
/ 생성된 황산납은 납축전지가 방치되어지는 조건에 따라 Soft sulfation 상태와 Hard sulfation
상태로 구분되는데, Hard sulfation 상태는 피막을 제거함에 어려움이 따르지만, Soft sulfation [일반충전]
상태의 경우에는 Pulse 전류를 통해 제거 가능함.
2. PULSE 충전(재생)
/ 일반 충전시에는 낮은 정전류로 충전하는 것과 달리, Pulse 충전(재생)시에는 높은 정전류를
순간적으로 가해주는 특정 주파수로 충전함으로써 초음파 효과로 볼 수 있음.
/ Pulse 충전의 초음파 효과를 통해, 생성된 황산납 피막을 황산이온과 납이온 형태로 이온화
시킴으로 제거할 수 있음.
[PULSE충전]
* 예비순간전류 & 최대순간전류(Auxiliary Current & Peak Current) <Duty cycle>
pulse plating parameters defined on a current time plot






